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🍼 2025 아동수당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? 만 17세 확대 소식까지 한눈에!

카테고리 없음

by 쿠마파파 2025. 3. 26. 16:56

본문

728x90
반응형

아이를 키우다 보면 꼭 챙겨야 하는 대표적인 국가 지원금, 바로 아동수당입니다.
하지만 “몇 살까지 받는 거지?”, “부모급여랑 뭐가 다르지?”,
“아이 통장으로 받으면 증여세는?”, “혹시 17세까지 늘어난다던데 사실일까?”
궁금한 부분이 많죠?

오늘은
✔️ 2025년 기준 아동수당 지급 나이
✔️ 계좌 변경, 소급 신청, 지급일
✔️ 17세 확대안과 주의사항
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.

 

2025 아동수당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? 만 17세 확대 소식까지 한눈에!

📌 아동수당이란?

아동수당은 만 0세~만 8세 이하의 아동에게
매월 정액 현금 1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소득이나 재산과는 관계없이 전국 모든 가정이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이에요.

✅ 기본 정보 요약

항목내용

 

지급대상 만 0세 ~ 만 8세 이하 (생일 전 달까지)
지급금액 매월 10만 원
지급일 매월 25일 (공휴일 시 전일 지급)
지급방법 부모 또는 아동 명의 계좌로 입금
신청방법 정부24, 읍면동 주민센터, 복지로

2025 아동수당 지급 대상 연령과 금액 정리표정부24에서 아동수당 계좌 변경 신청하는 방법 안내 이미지

📆 2025년 아동수당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?

 

2025년 현재, 아동수당은 ‘만 8세 생일이 속한 달의 전 달까지’ 받을 수 있습니다.

예시로 알아보기

  • 2016년 6월생 아동2025년 5월까지만 지급
  • 2017년 3월생 아동2025년 2월까지 지급
  • 2018년 1월생 아동2025년 12월까지 지급 가능

즉, 생일 기준이 아닌 '생일이 속한 달의 전 달'까지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!


🧒 아동 명의 통장으로 받으면 증여세 내야 하나요?

많은 부모님들이 아이 명의 통장으로 아동수당을 받으면 증여세 대상이 될까 걱정하시는데요,
국세청 해석에 따르면 단순 수당은 증여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.

단,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아요.

  • 부모가 아이 통장을 본인 자금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경우, 과세 가능성 있음
  • 아동수당 외 다른 자산을 합산하여 연간 2천만 원 초과 시 증여세 대상
  • 따라서 아동수당만 받는 통장은 분리 관리하는 것이 안전

💡 아이 명의 통장은 단독 계좌로 관리하고, 부모 자금과 혼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!


🧾 아동수당 신청 방법과 계좌 변경

처음 출생 신고 후 자동 신청되는 경우도 있지만,
이사, 계좌 변경, 양육자 변경 등 상황이 바뀌면 재신청 또는 계좌 변경이 필요합니다.

✅ 계좌 변경 방법

  1. 정부24 로그인
  2. 아동수당 → ‘지급계좌 변경 신청’
  3. 본인인증 후 새로운 계좌 입력
  4. 공인인증서 없이 간편 인증 가능

📌 지급일(25일) 기준 최소 5일 전에는 변경 신청을 완료해야
그 달부터 반영됩니다!


📢 2025년, 아동수당 17세까지 확대되나요?

현재 **‘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만 17세까지 확대하는 법안’**이
국회에 발의된 상태입니다.
이는 기존 만 8세까지의 지급을 만 17세 미만 아동까지 확대하여
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취지예요.

  • 2025년 중 시행 시기 미정 (추후 공포 예정)
  • 시행 전까지는 기존처럼 만 8세까지 적용
  • 확대가 확정될 경우, 보건복지부 공지를 통해 사전 고지 예정

💡 지금은 기존 연령 기준으로 관리, 향후 공지 확인 필수입니다!


✅ 아동수당, 꼭 챙기고 혜택 누리세요!

✔️ 2025년 현재, 만 8세까지 매월 10만 원 지원
✔️ 아이 통장 수령 가능하나 증여세 주의
✔️ 계좌 변경은 정부24에서 손쉽게 가능
✔️ 17세 확대안은 추진 중, 미시행 상태

 

아이를 키우는 모든 가정이라면,
아동수당은 놓치지 말고 챙겨야 할 필수 혜택입니다.

728x90
반응형